베트남 경제,주식,사회,부동산 정보동향/베트남 경제 주식 정보요약

2024년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10개국

장실장YB 2025. 1. 1. 18:47
728x90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들은 오랫동안 분쟁, 자연재해, 경제 침체로 인해 심각한 어려움에 직면해 왔습니다. 풍부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지역이 빈곤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최저 임금 이하의 삶을 살아야 합니다.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들은 내전, 민족, 종교 갈등으로 심각한 고통을 겪고 있습니다. 코로나19 대유행, 높은 인플레이션, 지정학적 긴장이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습니다.

지속적인 빈곤의 주요 원인을 한 가지로 꼽는 것은 어렵습니다. 부패한 정부는 부유한 나라를 망하게 할 수 있다. 전쟁, 정치적, 사회적 불안정, 가혹한 기후 조건 또는 적대적인 이웃 모두는 경제 파괴의 원인이 됩니다. 게다가, 도전은 도전에 쌓여 있습니다. 빚을 진 국가는 교육 시스템에 제대로 투자하기 어려울 것이며, 자격이 부족한 인력은 국가 전체의 발전 잠재력을 제한할 것입니다.

비공식 고용이 많은 세계 최빈국에는 기업과 근로자의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사회 안전망이나 임시 대출이 없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는 극빈층, 즉 하루 1.90달러 미만으로 생활하는 세계 인구의 비율이 1990년 35%에서 10% 미만으로 떨어졌습니다. 그러나 코로나19는 이를 완전히 역전시켰습니다. 진전. 세계은행은 팬데믹 이후 1억 9,800만 명이 추가로 극심한 빈곤에 빠졌다고 추정합니다.

그렇다면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를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까요? 1인당 GDP가 표준 척도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지만, 구매력평가(PPP)를 사용하여 생활비와 인플레이션율의 차이를 조정하면 한 국가의 사람들의 경제적 생산성과 생활 수준을 효과적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2024년 세계 10개 최빈국에 대한 통계 및 정보입니다.

1. 남수단

구매력 평가 기준 1인당 GDP(1인당 GDP-PPP): 455 USD

남수단은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 가장 가난한 나라입니다.

남수단은 많은 유전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천연자원에 대한 지나친 의존으로 인해 정치적·사회적 분열, 불평등, 부패, 전쟁이 발생하는 '자원의 저주'의 전형적인 사례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전통적인 농업으로 생계를 유지하지만 폭력과 극심한 기후 현상은 종종 농부의 파종이나 수확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올해에는 남수단 인구의 60% 이상인 최대 900만 명이 인도적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된다.

2. 부룬디

구매력 평가 기준 1인당 GDP(1인당 GDP-PPP): 916 USD

작은 내륙국인 부룬디는 천연자원이 부족하고 12년간(1993년~2005년) 내전을 겪었다.

부룬디의 1,300만 시민 중 약 80%가 생계를 농업에 의존하고 있어 식량 안보 위험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 평균의 거의 두 배에 이릅니다.

더욱이 이 나라는 깨끗한 물에 대한 접근성이 부족하고, 위생 상태도 열악하며, 전기를 사용하는 인구는 전체 인구의 5% 미만입니다. Evariste Ndayishimiye 대통령은 경제를 재개하고 외교 관계를 회복하려고 시도했습니다. 2022년에는 미국과 유럽연합 모두 금융 제재가 해제된 후 원조를 재개했습니다. 그러나 성장이 점차 회복되는 가운데 올해 인플레이션은 22% 안팎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3. 중앙아프리카공화국(CAR)

구매력 평가 기준 1인당 GDP(1인당 GDP-PPP): 1,123 USD

금, 석유, 우라늄, 다이아몬드가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중앙아프리카공화국은 매우 가난한 사람들을 가진 매우 부유한 국가로 남아 있으며 거의 ​​10년 동안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국가 중 하나였습니다.

국가 재건을 향한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국가의 많은 지역은 여전히 ​​무장 단체와 반군의 통제 하에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목재 산업, 농업, 다이아몬드 채굴 덕분에 경제 성장이 약간 회복되는 조짐을 보였습니다.

4. 콩고민주공화국(DRC)

구매력 평가 기준 1인당 GDP(1인당 GDP-PPP): 1,552 USD

1960년 벨기에로부터 독립한 이후 콩고는 수십 년 동안 계속해서 정치적 불안과 끊임없는 폭력을 경험해 왔으며, 이로 인해 콩고는 정기적으로 세계 최빈국 순위에 포함되었습니다. 인구의 약 65%, 즉 6,500만 명이 여전히 하루 2.15달러 미만으로 생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세계은행은 콩고가 아프리카에서 가장 부유한 국가 중 하나이자 대륙 전체의 성장 엔진이 될 수 있는 자원과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나라는 현재 세계 최대의 코발트 생산국이자 아프리카 최고의 구리 공급원입니다. 이는 전기 자동차 생산에 필수적인 재료입니다.

5. 모잠비크

구매력 평가 기준 1인당 GDP(1인당 GDP-PPP): 1,649 USD

풍부한 자원과 전략적 위치를 갖춘 모잠비크는 지난 10년 동안 정기적으로 평균 7% 이상의 GDP 성장률을 기록해 왔습니다. 그러나 이 나라는 빈곤율이 여전히 높고 하루 2.15달러 미만으로 생활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60%에 달하는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10개국 중 하나입니다.

경제에 대한 정확하고 투명한 정보의 부족은 모잠비크가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는 데 큰 장애물로 남아 있습니다. 더욱이, 폭풍과 홍수는 여전히 국가 발전에 큰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6. 니제르

구매력 평가 기준 1인당 GDP(1인당 GDP-PPP): 1,675 USD

국토의 80%가 사하라 사막에 위치한 니제르는 심각한 사막화 위험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 나라의 기근, 질병, 사망률은 모두 높습니다.

2021년 니제르는 전 교사이자 전 내무장관이었던 모하메드 바줌(Mohamed Bazoum)이 대통령으로 취임하면서 최초의 민주적 권력 이양을 경험했습니다. 2022년 경제는 12% 성장해 많은 긍정적인 기대를 불러일으킵니다. 그러나 2023년 여름 현재 바줌 씨가 타도되고 군사정부가 계속 권력을 장악했다.

7. 말라위

구매력 평가 기준 1인당 GDP(1인당 GDP-PPP): 1,712 USD

아프리카에서 가장 작은 나라 중 하나인 말라위의 경제는 강우량에 크게 의존하는 농작물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날씨 변화에 매우 취약합니다. 특히 농촌지역의 식량난은 심각하다.

말라위는 1964년 독립 이후 안정적인 정부를 유지해 왔습니다. 그러나 구조 개혁은 더디었습니다. 현재 말라위는 경제 위기, 연료 부족, 식량 가격 상승, 현지 통화 가치 하락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2023년까지 말라위 인구의 70% 이상이 빈곤선 이하에서 살게 될 것입니다.

8. 라이베리아

구매력 평가 기준 1인당 GDP(1인당 GDP-PPP): 1,882 USD

라이베리아는 수년 동안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하나였습니다. 2018년 전 축구스타 조지 웨아(George Weah)가 대통령이 되면서 대중의 기대감은 높아졌지만 그의 임기는 높은 인플레이션, 실업률, 경기 침체로 시달렸다. 2023년 재선에서 그는 상대였던 조셉 보아카이(Joseph Boakai) 전 부통령에게 패배했다.

2020년과 2021년 하락세를 보인 라이베리아의 경제 성장은 2022년 회복되었습니다. 2024년 예측에서는 성장이 5.3%에 도달하고 앞으로도 계속 6% 이상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9. 마다가스카르

구매력 평가 기준 1인당 GDP(1인당 GDP-PPP): 1,979 USD

마다가스카르는 1960년 독립 이후 많은 정치적 불안정을 겪었습니다.

마다가스카르는 현재 빈곤율이 약 75%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반면, 경제 성장은 부진하고 인플레이션은 8%에 가깝습니다.

이 나라는 또한 전례 없는 많은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코로나19 대유행은 경제적, 사회적 영향을 미쳤고, 우크라이나의 곡물 공급 감소로 인해 식량 가격이 급등했습니다. 마다가스카르는 또한 가뭄, 홍수, 폭풍으로 인해 인명, 재산, 농작물이 손실되는 등 기후 변화에 가장 취약한 10개 국가 중 하나입니다.

10. 예멘

구매력 평가 기준 1인당 GDP(1인당 GDP-PPP): 1,996 USD

인구 약 3,500만 명의 예멘은 아라비아 반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하나입니다.

예멘은 2014년 말부터 사우디아라비아가 지원하는 정부와 후티 반군 사이의 권력 다툼으로 내전을 벌이고 있다.

전쟁으로 인해 150,000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고 경제가 마비되었으며 주요 기반 시설이 파괴되었습니다. 그 결과, 오늘날 예멘 인구의 80% 이상이 석유 자원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빈곤 속에 살고 있습니다.

 
728x90